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뻣뻣한 손가락, 이유있어요~

by wjump05 2025. 4. 3.

Trigger Finger 혀

현대인의 생활에서 빼 놓을 수없는 스마트폰과 전자기기.

손과 손가락을 많이 사용하는 직장인이나 주부, 스마트폰을 장시간 사용하는 중장년층 사이에서

‘방아쇠 수지 증후군(Trigger Finger)’ 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고 합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방아쇠 수지 증후군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 수는 2013년 16만5000여 명에서 2023년 26만9000여 명으로 10년 새 63%나 늘어났다고 하네요.

(파이넨셜뉴스참고)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4/0005330916


방아쇠 수지 증후군(Trigger Finger)은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펼 때 걸리는 느낌이나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이 증상은 손가락을 움직이는 힘줄과 이를 둘러싼 활차 사이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며, 주로 반복적인 손 사용이나 과도한 힘이 가해질 때 나타납니다.

 

◎ 증상

  • 손가락의 걸림 현상: 손가락을 구부리거나 펼 때 갑작스러운 걸림이나 '딸깍'하는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 통증: 손가락 바닥 부분이나 손바닥에 통증이 느껴질 수 있으며, 특히 아침에 증상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부기: 손가락 관절 부위에 부종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움직임의 제한: 심한 경우 손가락을 완전히 펴거나 구부리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원인

반복적인 손 사용, 당뇨병, 류마티스 관절염 등과 같은 질환이 방아쇠 수지 증후군의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치료법

  1. 비수술적 치료
    • 휴식: 손의 과도한 사용을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약물 치료: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를 사용하여 염증과 통증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물리 치료: 온찜질이나 스트레칭 운동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스테로이드 주사: 염증 부위에 스테로이드를 주사하여 염증과 부기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2. 수술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되지 않는 경우,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국소 마취하에 활차를 절개하여 힘줄이 원활하게 움직이도록 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예방 및 관리

  • 손 사용의 조절: 반복적인 손 동작을 피하고, 장시간 손을 사용할 경우 중간중간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스트레칭: 손가락과 손목의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스트레칭을 실시합니다.
  • 적절한 도구 사용: 손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결론

방아쇠 수지 증후군은 일상생활에서 손을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흔히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초기 증상을 인지하고 적절한 치료와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리한 사용을 피하고, 정기적인 스트레칭과 휴식을 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