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아두면 좋은 정보

'기축통화(基軸通貨, world currency)'란?

by wjump05 2025. 3. 30.

뉴스를 통해 관세니 뭐니 복잡한 세상 소식을 듣다가 문뜩 떠오른 단어.

'기축통화'

대충 머릿속에 개념만 잡고 있던 이 것에 대해 풀어보고자 합니다.


1. 기축통화란?

기축통화(基軸通貨, Reserve Currency)란 국제 무역과 금융 거래에서 널리 사용되는 통화를 의미합니다.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과 금융기관이 외환보유고로 보유하며, 국제 결제 및 외환시장에서 안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기축통화는 신뢰성과 안정성이 높아야 하며, 해당 통화를 발행하는 국가의 경제력과 정치적 안정성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2. 주요 기축통화와 특징

현재 세계 경제에서 중요한 기축통화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미국 달러(USD)

  •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축통화로 국제 거래, 원자재 가격 책정, 외환보유고 등에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함
  • 미국의 경제력과 정치적 영향력, 강력한 금융 시스템이 뒷받침됨
  • 글로벌 금융 위기나 경기 침체 시 안전자산으로 인식됨
  • IMF 외환보유고 기준(2023년 4분기): 약 58%

2) 유로(EUR)

  • 유럽연합(EU) 20개국이 사용하는 단일통화
  • 국제 무역과 금융에서 미국 달러 다음으로 중요한 통화
  • 유럽 중앙은행(ECB)이 통화정책을 조정하며, EU 경제의 안정성이 중요한 요소
  • IMF 외환보유고 기준: 약 20%

3) 일본 엔(JPY)

  • 아시아에서 가장 신뢰받는 기축통화
  • 일본의 경제 규모와 국제 금융 시장에서의 영향력 덕분에 안정적인 통화로 평가됨
  • 금융 위기 시 안전자산 역할을 수행
  • IMF 외환보유고 기준: 약 5.5%

4) 영국 파운드(GBP)

  • 영국이 경제적, 금융적으로 강력한 기반을 가지고 있어 국제적으로 사용됨
  • 런던이 세계적인 금융 중심지이기 때문에 국제 금융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 수행
  • IMF 외환보유고 기준: 약 5%

5) 중국 위안화(CNY)

  • 중국 경제의 급성장과 함께 국제화가 진행되고 있는 통화
  • 2016년 IMF 특별인출권(SDR) 편입으로 기축통화로 인정받음
  • 중국 정부의 자본 통제와 환율 개입으로 인해 여전히 제한적 사용
  • IMF 외환보유고 기준: 약 3%

3. 기축통화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기축통화는 국제 경제와 금융 시장에 강력한 영향을 미칩니다. 주요 영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국제 무역 및 금융 안정성 제공

  • 국제 무역 결제 시 기축통화가 사용되므로 거래 비용이 절감됨
  • 안정적인 기축통화가 존재하면 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완화됨

2) 외환 시장과 환율에 영향

  • 기축통화 보유량이 많은 국가는 환율 변동성에 대한 리스크가 낮음
  • 신흥국은 외채 상환 시 기축통화 부족으로 경제 위기를 겪을 수 있음

3) 경제 위기 시 안전자산 역할

  • 경제 불안정 시 투자자들은 달러나 엔화 같은 기축통화를 선호하여 해당 통화의 가치가 상승
  • 반대로 신흥국 통화 가치는 급락할 가능성이 큼

4) 기축통화국의 경제정책이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

  •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긴축 정책) 글로벌 자금이 미국으로 유입되어 신흥국 금융 시장이 불안정해짐
  • 반대로 금리를 내리면(완화 정책) 신흥국으로 자금이 유입되어 경제 회복에 도움

바라기는 우리나라 위상도 더 높아져서 원화도 기축통화에 포함되는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