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기업을 평가할 때도, 물건을 소비할 때도 그 기준이 달라졌습니다.
이번에는 그 기준의 변화에 무엇이 있는지 생각해보고자 합니다.
1. ESG란 무엇인가?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는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를 고려한 지속 가능한 경영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는 달리, 기업의 장기적인 성장과 투자 가치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환경(Environment): 탄소 배출 저감, 재생 가능 에너지 사용, 자원 효율성 개선, 폐기물 관리 등 친환경 경영 실천
- 사회(Social): 노동자 인권 보호, 다양성 및 포용성 강화, 지역사회 기여, 소비자 보호 및 윤리적 공급망 운영
- 지배구조(Governance): 이사회 독립성, 투명한 회계 관리, 부패 방지, 주주 권리 보호
2. ESG의 중요성과 글로벌 트렌드
ESG는 단순한 기업 평판 관리 수단이 아니라, 투자 의사결정의 주요 기준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는 ESG 평가 기준을 반영한 지속 가능 투자(SRI,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가 증가하고 있으며, 주요 국가 및 기관 투자자들은 ESG 경영을 하지 않는 기업에 대한 투자 제한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유럽연합(EU): 2021년부터 기업 지속 가능성 공시 지침(CSRD) 시행, ESG 공시 의무화
- 미국: 주요 연기금 및 자산운용사가 ESG 투자 비중 확대, SEC(미국 증권거래위원회)의 ESG 공시 요구 강화
- 일본: 2020년부터 ESG 공시 의무화, 기업 지배구조 개혁 추진
3. 우리나라의 ESG 정책 및 노력
(1) 정부 차원의 ESG 정책
정부는 ESG 경영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특히 환경 및 탄소 중립과 관련된 제도 정비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탄소중립 2050 선언: 2020년 대한민국 정부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Net Zero)을 달성하겠다고 발표하고, 이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입니다.
- K-ESG 가이드라인 도입: 2021년 한국 정부는 기업의 ESG 경영을 지원하기 위해 ‘K-ESG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였으며, 중소기업이 ESG를 도입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 정책을 시행 중입니다.
- ESG 공시 의무화: 2026년부터 코스피 상장 기업(자산 2조 원 이상)에 대해 ESG 공시를 의무화할 예정이며, 이후 단계적으로 확대 시행될 계획입니다.
(2) 국내 기업들의 ESG 경영 사례
- 삼성전자
- 친환경 반도체 제조 공정을 도입하고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 협력업체와 함께 ESG 공급망 관리 강화
-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CSR 및 교육 프로그램 운영
- 현대자동차
- 전기차 및 수소차 개발을 통해 친환경 모빌리티 산업 선도
- 협력사 및 공급망 내 ESG 평가를 도입하여 지속 가능성 확보
- 탄소 배출 감축 목표 수립 및 재생 에너지 사용 확대
- SK 그룹
- ESG 중심의 투자 및 경영 방침을 수립, ‘파이낸셜 스토리’ 전략 실행
- 친환경 에너지 사업 확대(수소 경제, 친환경 소재 개발 등)
- 사회적 기업 지원 및 다양한 사회 공헌 프로그램 운영
- LG 그룹
- 친환경 제품(재활용 소재 TV, 고효율 배터리 등) 개발
- 공급망 내 ESG 기준 적용 및 협력업체 지원
- 지속 가능 경영 보고서를 통해 ESG 성과 투명하게 공개
(3) ESG 관련 법제 및 규제
- 중대재해처벌법 시행(2022년): ESG의 사회(S) 영역 강화 차원에서 산업재해 예방 및 근로자 보호를 위해 시행됨.
- 탄소배출권 거래제 강화: 기업들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
- 기업 지배구조 개선 법안: 대기업의 이사회 독립성 강화 및 주주 권리 보호를 위한 개혁 조치 시행.

4. ESG 경영의 과제와 향후 전망
(1) ESG 도입의 도전 과제
- 중소기업의 ESG 경영 도입 어려움 (비용 부담, 정보 부족)
- ESG 평가 기준의 다양성과 일관성 부족
- 단기적인 성과보다는 장기적인 전략 필요
- ESG 경영에 대한 내부 조직 문화 및 의사결정 체계 정비 필요
(2) 향후 전망
- 2026년 ESG 공시 의무화로 기업들의 ESG 경영 가속화
- 정부 및 금융 기관의 ESG 투자 지원 확대
- ESG 기준의 국제 표준화 진행, 기업들의 글로벌 ESG 경쟁력 강화
-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기술 개발 및 정책 지원 확대
5. 결론
ESG는 단순한 트렌드가 아니라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결정하는 필수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우리 역시 정부 정책과 기업들의 ESG 도입을 통해 지속 가능 경영을 강화하고 있으며,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ESG 리더십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중소기업의 ESG 지원 확대, ESG 공시 기준의 표준화, 지속 가능한 기술 개발 등이 ESG 경영의 성공을 좌우할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이슈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11일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의 날' (2) | 2025.04.11 |
---|---|
진화하는 AI시대 내 밥그릇 지키기 (4) | 2025.04.08 |
관세[Tariff,關稅] (4) | 2025.04.02 |
*육아휴직* (4) | 2025.04.02 |
역사와 함께 흐른 음악 (4)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