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상식

천식환자 100만명이나?!

by wjump05 2025. 4. 25.

 

며칠동안 매우 바빠 블로그 작성을 못 했네요^^;
오래간만에 뉴스검색하다 봄철 날씨가 이렇게 많은 사람들에게 힘들 수있겠구나를 느꼈습니다.

천식으로 숨 쉬는 것이 힘들고 불편하신 분들을 위해 오늘은 '천식'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관련뉴스> 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4030763


🌍 환경오염과 천식 발생률 증가

📈 천식 환자 수 증가 추세

  • 2023년 천식 환자 수는 1,423,451명으로, 전년 대비 39% 증가했습니다.

🌬️ 대기오염과 천식의 상관관계

  • 미세먼지(PM2.5), 오존(O₃), 질소산화물(NOₓ) 등 대기오염 물질은 기도 염증을 유발하여 천식 증상을 악화시킵니다. 특히 미세먼지는 알레르겐 감작을 증가시켜 천식 발병률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천식의 원인, 증상, 치료법

🔍 원인

  • 유전적 요인: 가족력은 천식 발병 위험을 높입니다.
  • 환경적 요인: 대기오염, 흡연, 알레르겐(집먼지진드기, 꽃가루 등) 노출이 주요 원인입니다.
  • 기타 요인: 비만, 스트레스, 감염 등이 천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증상

  • 흡곤란, 기침, 쌕쌕거림(천명음), 가슴 답답함 등이 대표적입니다.
  • 증상은 주로 밤이나 새벽에 악화되며, 계절 변화나 감기 등으로 유발될 수 있습니다.

💊 치료법

  • 약물 치료:
    • 흡입 스테로이드: 기관지 염증을 줄여 증상을 완화합니다.
    • 기관지 확장제: 기관지를 확장시켜 호흡을 용이하게 합니다.
  • 폐기능 검사:
    • 천식 관리에는 정기적인 폐기능 검사가 중요합니다. 그러나 2023년 기준, 천식 환자의 폐기능 검사 시행률은 41.5%로 낮은 편입니다.
  • 생활 관리:
    • 알레르겐 회피, 금연,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이 도움이 됩니다.
     


📊 천식 관리의 중요성

천식은 적절한 관리로 증상 악화와 입원을 예방할 수 있는 만성 질환입니다. 그러나 폐기능 검사 시행률과 흡입약제 처방률이 낮은 현실은 개선이 필요합니다. 환자와 의료진 모두 천식 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기적인 검사와 치료를 통해 질병을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 초기 1년간 치료의 중요성

천식은 초기 1년간의 치료가 평생의 질병 경과를 좌우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초기 치료를 통해 폐기능 저하를 방지하고, 증상의 악화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환자들이 초기 치료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 나들이 불청객 : 식중독  (0) 2025.05.06
비만과 당뇨  (6) 2025.05.03
수면다원검사[polysomnography]  (2) 2025.04.22
심한 잠꼬대와 허우적거림이 있다면..  (2) 2025.04.22
전 세계 발병율 1위 여성암  (0) 2025.04.20